윈도우10 "영화 및 TV" 앱에서 HEVC(H.265) 코덱으로 인코딩된 영상이 안 보일 때.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HEVC로 검색하면

HEVC Video Extensions 라는 프로그램이 검색되는데
 
구입가격 1,200원입니다.

그런데,
 
https://www.microsoft.com/en-us/p/hevc-video-extensions-from-device-manufacturer/9n4wgh0z6vhq 로 가서

(Install/Play를 클릭해서)
 
장치 제조업체의 HEVC Video Extensions 라는 앱을 설치하면

무료로 HEVC코덱으로 인코딩된 영상을 "영화 및 TV" 앱에서 바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유료와 무료차이는 유료는 제작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윈도우 10 업그레이드 후 스토어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

다음 내용을 진행 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작업 방법 1. 스토어 캐시 초기화

  1. 윈도우+R키를 누르고 실행창이 표시되면 WSReset.exe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2. 스토어 캐시가 초기화 되면 다시 스토어를 실행 합니다.

작업 방법 2.  Windows Store 등록

  1. 작업 표시줄의 '웹 및 Windows 검색'에 cmd를 입력합니다.
  2. 결과에 '명령 프롬프트'가 검색되면 마우스 우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3. 다음 명령을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 PowerShell -ExecutionPolicy Unrestricted  
  • $manifest = (Get-AppxPackage Microsoft.WindowsStore).InstallLocation + '\AppxManifest.xml' ;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manifest 

작업 방법 3. Windows 구성요소 저장소에서 파일 손상 여부 확인

  1. 작업 표시줄의 '웹 및 Windows 검색'에 cmd를 입력합니다.
  2. 결과에 '명령 프롬프트'가 검색되면 마우스 우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3.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PC에 따라 완료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습니다.)
  4. 이후 다음 명령을 이용하여 시스템 검사를 진행합니다.
    sfc /scannow
  5. 시스템 파일에 문제가 있는지를 탐색하며, 복구가 가능한 부분은 복구가 진행이 됩니다.
    검사가 100% 완료가 되면, 결과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인 PC의 시작 타일 메뉴입니다.

어느 날 갑자기 만들기,탐색,재생이 사라질때가 있더라고요...


다음과 같이 해봅시다.

-- 시작 메뉴 레이아웃 백업하기 --

시작 단추를 눌러 'powershelgl' 을 입력 > 마우스 오른쪽 단추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Export-StartLayout -Path c:\startlayout.xml

위 명령어를 입력 하면 c:\startlayout.xml 이 생성됩니다.  백업은 끝.



-- 시작 타일메뉴 레이아웃 복원 --

시작 단추를 눌러 'gpedit.msc' 을 입력 > 마우스 오른쪽 단추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사용자 구성 -> 시작 메뉴 및 작업 표시줄 -> 시작 레이아웃을 엽니다.

[사용]으로 변경하고, 시작 화면 레이아웃 파일을 c:\startlayout.xml 으로 지정합니다.


재부팅 .........


윈도우10 1703 업데이트를 했더니 시작 버튼 우클릭과 탐색기에서 쉬프트+우클릭 했을때 뜨던 "여기에 명령 창 열기"가 "여기에 PowerShell 창 열기"로 바뀌었더군요.

 

시작 버튼 우클릭은 작업 표시줄 설정에서 바꿨습니다만 탐색기에서 쉬프트+우클릭 했을때 뜨는 것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레지스트리


cmd-here-windows-10.reg

undo.reg


구글링해서 내용을 확인해보니 네트워크 유휴시간설정을 -1로 설정하면 된다고 한다.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윈도우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다.

2. 명령 프롬프트에서 net config server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유휴 세션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은 15분으로 잡혀있다.)

3. net config server /autodisconnect:-1 명령을 실행하면 유휴세션시간이 -1로 설정되면서 네트워크 연결이 더이상 끊어지지 않게된다.


이제 설정해뒀으니 한동안 지켜봐야겠지...

최근에 제목과 같은 문제, 즉 윈도우10에서 탐색기에 들어갔을 때 혹은 오른쪽 마우스 클릭시 프리징되는 현상(멈춤 또는 응답없음)이 발생했다. 

원인이라 예상되는 문제는 당연히 explorer.exe의 문제 혹은 ssd의 문제인데, 정확하게는 알지 못한다.


검색을 해보면 윈도우8의 경우에는 핫픽스라던지 여러 해결방법이 제시되어있는데, 윈도우10에 핫픽스를 설치해보긴 부담이 되어서 다른 방법들을 적용해본 결과 해결할 수 있었다. 여기에 그 방법을 정리해 놓고자한다.


1. bcdedit /set disabledynamictick yes 입력하기

검색하면 가장 많이나오는 방법인 듯 하다. 하지만 내 컴퓨터에는 적용해도 별 효과가 없었다. 방법은 간단하다.

1) 윈도우키 + x 를 누른 뒤  명령프롬포트(관리자) 실행 

//또는 웹 및 Windows 검색에 cmd를 입력 후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하지만 위와 같은 증상을 겪는 경우 검색 기능이 현저하게 느려짐으로 윈도우키 + x키가 가장 빠르다.

2) 명령 프롬포트 창에 bcdedit /set disabledynamictick yes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재부팅을 해준 뒤 확인해보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효과가 있었던 건 아니지만 누군가에겐 해결책이 될 수 있겠다.


2. Windows 구성요소저장소에서 파일 손상 여부 확인

내게 실제로 효과가 있었던 방법이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해결방법이다.

http://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windows_10-performance/%EC%9C%88%EB%8F%84%EC%9A%B010/c16c0ffa-41a9-4241-bf0f-c35beea1a010


1) 1,과 동일하게 명령프롬포트(관리자)를 실행한다.

2)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를 입력한후 Enter를 입력해 실행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창이 실행되고 꽤나 오랜 시간이 지난 뒤 완료된다.

3) 다음 명령프롬포트(관리자)에 sfc /scannow를 실행시켜 시스템 검사를 시도한다.

4) 완료 후 재부팅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내 컴퓨터에서 발생하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동일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경우에는 적용이 안될 수도 있겠다. 참고로 sfc만 입력을 해보면 다른 기능들이 있으므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작업 방법 1. administrator(관리자 권한) 변경

  1. Windows 로고 키 + x 키 를 누른 후 명령 프롬프트(관리자)을 선택합니다.
  2.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의 명령을 입력 후 enter 키를 누룹니다.(입력이 어려울 경우 복사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마우스 우측 키를 누르고 붙여넣기 합니다.)
  3.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4. Windows 로고 키 + x 누른 후 종료 또는 로그 아웃에서 로그 아웃을 선택합니다.
  5. 왼쪽 아래에 administrator 계정이 생성된 것이 보입니다. administrator 계정을 선택 후 로그인 합니다.(처음 시작시 시간이 다소 소요됌)
  6. 삼성노트북 settings 프로그램 설치합니다
  7. administrator 계정에서 로그 아웃합니다.
  8. 처음 표준 계정을 선택 후 로그인합니다.
  9. Windows 로고 키 + x 키 를 누른 후 명령 프롬프트(관리자)을 선택합니다.
  10.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의 명령을 입력 후 enter 키를 누룹니다.(입력이 어려울 경우 복사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마우스 우측 키를 누르고 붙여넣기 합니다.)
  11.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no
  12. administrator 계정이 해제됩니다.

주의: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하시면 보안에 취약해 지므로 반드시 해제 후 로컬 계정을 사용해 주세요.

[순서1] 윈도우10 시작메뉴에서 powershell을 입력하고 [Windows PowerShell]오른쪽버튼을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한다.


[순서2] 그러면 상단제목이 "관리자: Windows PowerShell"라도 되어 있을겁니다. 그러면 명령어로 SFC /scannow를 입력합시다. 3-4분정도 소요됩니다.


이러면 대부분 윈도우 파일중 깨진것을 확인하고 복구해줍니다.

작업 1. 서비스 시작 확인 

1.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클릭 합니다.

2.     아래 서비스가 상태가 ‘시작됨’ 으로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

network access protection agent

network connections

network list service

network location awarenss

network store interface service

dhcp client

tcp/ip netbios helper

3.     시작 되어 있지 않은 서비스가 있다면 시작 합니다.

 

 

작업 2. SMB2 Disable

1.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항목의 오른쪽 마우스 클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클릭 합니다.

2.     아래 명령어를 한줄 씩 입력 후 엔터 합니다. ( 입력 어려울 시 복사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붙여넣기” 합니다)

sc config lanmanworkstation depend= bowser/mrxsmb10/nsi 

sc config mrxsmb20 start= disabled

3.     컴퓨터 다시 시작 후 접근 다시 시도 합니다.

 

 

 

작업 3. 백신 프로그램 영향 확인

컴퓨터에 설치  타사 백신 프로그램  방화벽 프로그램의 실시간 감지를 해제 하거나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제거   아래 작업을 진행  봅니다.

 

 

 

작업 4. 파일 공유 연결 옵션 변경

  1.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왼쪽에 “고급 공유 설정 “ 클릭 합니다.
  2.   파일 공유 연결 부분에 설정을 “40 비트 또는 56비트 암호화를 사용하는 장치에 대해 파일 공유 사용” 체크 하여 확인 합니다.
  3. 설정 저장 후 다시 문제점 확인 합니다.


[원본바로가기]

윈도우즈 사용중 어느 순간부터 그림 파일이 다음과 같이 미리 보이지 않을때 가능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탐색기를 열고 <Alt+T>를 `도구` 메뉴로 들어가고,

그 안에 하위 메뉴에 `폴더 옵션`으로 들어가서 다음 그림과 같이.....

`아이콘은 항상 표시하고 미리 보기는 표시하지 않음`을 언체크합니다.


탐색기 도구 메뉴에 `폴더 옵션` 메뉴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탐색기에 `구성`-- `폴더 및 검색 옵션` 메뉴가 있지만 비활성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는 윈도우즈 시작 단추를 누르고 입력란에 `cmd`를 입력하고 엔터치면 도스 창이 뜨고 아래를 복사해서..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v NoFolderOptions /t REG_DWORD /d 0 /f

다음 그림과 같이 도스 창 우측 상단에 아이콘을 클릭하고,,,,,,

편집 들어가서..`붙여넣기` 하세요. 그리고 <Enter>치세요.



마지막으로 아래도 위와 같이 붙여넣고 <Enter> 요....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v NoFolderOptions /t REG_DWORD /d 0 /f

 

그리고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 Recent posts